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각종 세금 납부는 지로에서[인터넷 지로]

유용한 정보

by 나는야밍 2023. 1. 25. 22:54

본문

 

 

 

각종 세금 납부하실 때 혹시 은행 방문하시는 분 계실까요?

은행에서 납부하거나 가상계좌로 납부하는 것도 좋지만

인터넷에서 한 번에 납부하는 것도 편리한 방법이죠.

 

인터넷 지로(www.giro.or.kr/)에서 계좌등록하고

30초 만에 세금 납부해 보아요!

 

인터넷 지로 활용하기

 

일단 지로(www.giro.or.kr/)에서 로그인을 합니다.

회원이 아니시라면 회원가입을 하고 공동인증서를 등록해 줍니다.

 

 

 

여기서 공동인증서 등록은 어떻게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계실 거예요.

 

일단 아이디/비밀번호로 로그인을 해주시고

메인화면 오른쪽 상단의 인증서 등록/안내를 눌러줍니다.

 

 

 

 

저는 법인 명의로 로그인을 해서 화면이 이렇게 나오는데요.

개인으로 로그인을 하면 회원구분이 개인으로 나오실 거예요.

은행거래용 및 범용 공동인증서나 금융투자용(구 증권거래용) 공동인증서

둘 중 하나를 골라 등록하기를 눌러 사용하시는 공동인증서를 등록해 주세요.

 

 

 

 

로그인 후 메인화면 중앙을 보시면 공과금 통합조회도 가능하고

왼쪽부터 지방세·세외수입, 국고금, 사회보험료,

전기/전화요금, 일반지로요금이 있습니다.

여기서 필요한 메뉴를 선택해 주시면 된답니다.

 

그리고 계좌를 등록해주어야 하는데요.

메인화면 상단의 MY GIRO > 납부계좌 등록/관리로 들어가 주세요.

 

 

 

납부할 계좌를 등록해 주면 납부할 때 편리하므로

계좌 등록을 해주시면 좋습니다.

금융회사 종류부터 계좌비밀번호까지 올바르게 입력이 되었다면

등록하기 버튼을 눌러 등록해 줍니다.

 

 

 

 

그러면 나중에 세금 납부를 할 때 등록된 계좌를 선택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납부하는 방법을 예시로 보여드릴게요.

 

 

 

지방세를 조회하고 납부할 지방세의 상세 보기를 클릭해 줍니다.

 

 

 

납세 고지서 화면이 나오면 결제수단을 계좌이체로 선택하고

납부계좌 선택에 보면 등록한 계좌가 나올 거예요.

등록한 계좌를 선택 후 계좌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납부하기 버튼을 누르면 납부 완료!

간단하죠?

또 은행에 들어가지 않아도 계좌잔액 조회가 가능하답니다.

 

 

밑의 사진처럼 여러 개를 납부하는 경우는

모두 선택해서 납부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만약 납부해야 하는 금액이 100만 원이 넘을 경우에는

인증서로 본인 확인이 필요하다는 점 참고하시면 될 듯해요.

 

 

 

 

또한 법인의 경우, 세금 조회를 할 경우

사업자등록번호와 법인등록번호 각각 조회가 가능하여

사업자등록번호로 조회해서 나오지 않는다고 해도

법인등록번호에서 납부할 내역이 조회되는 경우도 있답니다.

그래서 법인 명의로 조회하시는 분들은

사업자등록번호와 법인등록번호를 모두 조회하시면 됩니다.

 

 

예시

 

 

그리고 상하수도 요금이나 전기요금도 여기서 납부를 할 수 있는데요.

고지서를 받으셨다면 고지서에 있는

납부번호로 조회를 하여 납부를 할 수 있습니다.

상하수도요금은 고지서에 있는 고객번호/전자납부번호/전자수용가번호

조회가 가능하며, 전기요금은 고객번호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과태료도 지로에서 납부가 가능한데,

국고금 > 경찰청범칙금을 들어가면 과태료 조회/납부가 가능합니다.

과태료 또한 고지서를 받았다면

전자납부번호로 조회/납부가 가능합니다.

 

 

 

 

이 외에도 특허수수료나 관세, 환경개선부담금 등

일반 지로요금도 납부가 가능하니 사용하시면 편리할 거예요.

만약 찾는 메뉴가 한눈에 안 보인다면 검색하셔도 좋습니다.

 

 

 

 

납부했던 내역은 어디서 조회하나요?

 

지로 메인 화면에서 MY GIRO > 납부확인증 보관함을 가셔도 되고

오른쪽 사이드바 메뉴 > 납부확인증 보관함을 보셔도 됩니다.

 

 

 

 

조회기간을 선택하고 조회하기를 눌러주시면

지로에서 납부했던 납부확인증이 모두 나온답니다.

필요에 따라 출력하셔도 됩니다.

일반지로 요금 등의 비회원 납부내역 조회는

본인 확인이 가능한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아이핀 인증이 필요로 합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